커뮤니티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 수강한 강의 : 3년차 초보자가 알려주는 세무 실무 왕초보 체크리스트   1) 세무사사무실 = 매니지먼트     ㄴ "단순히 세무신고만 해주는 사람이 아닌 지속적으로 관리, 조율, 피드백 등 기업, 개입사업장을 운영하면서 필요한 존재     ㄴ 각자업무 /각 업체 담당자 지정 -> 보편적으로 A~Z 까지 한사람이 처리     ㄴ 스스로 업무 가이드 라인 계획 가능 / 업무 속도, 방식 본인 조절 가능     ㄴ 책임감과 부담감 ↑ 2) 실수했을 때 = 생각보다 "죄송합니다"라는 말이 쉽게 나오지 않을 수 있다     ㄴ 위의 말에 정말 많이 공감 하였습니다 잘못된 부분을 인정하는게 쉽지 않는데, 잘못 한 부분에 대해서는          인정하고 사과하는 태도는 세무대리인 그리고 인간관계에서 정말 중요한 마음가짐이라는 생각을 정말 많이 했습니다 3) 적극성 있는 태도    ㄴ 신입때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고 작은 메모 노트를 가지고 다니며 메모하는 습관은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습관인것 같습니다 ---------------------------------------------------------------------------------------------------------------------------------------------------- 1일차 강의를 처음 들으면서 신입때의 그마음 가지고 다시 공부를 하면서 마음을 가다듬기 위해 강의 선택을 하여 수강 하였습니다  박희지 캡틴님께서 실제 근무를 하면서 신입때 강의를 들었었다면 좀 더 적응을 빨리 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때 그 마음가짐으로 처음부터 세무대리인이 무엇인가?  맞습니다 "세무대리인은 단순히 세무신고만 해주는 사람이 아닌 지속적이 관리, 조율, 피드백 등 기업, 개인사업장을 운영하면서 필요한 존재" 라는 말은 정확하다고 생각 합니다  박희지 캡틴님 강의를 동의하면서 정의 그대로 매니지먼트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좀더 서비스 정신을 발휘하며 업무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부가세신고.. 부가세 신고 개념도 이해도 작성도 케이스 공부 해야할께 많지만 신고프로세스도 너무 중요합니다. 아무리 완벽한 신고서를 만드는법을 알더라도   신고가 안들어가거나 신고대상자를 모르면 끝이라 ㅎ 그런 관점이 잘 담겨있는 강의입니다.   핵심 메세지 처음부터 매입매출 자료 입력하는게 아니다. 중요한건 신고대상 기간 확인이다.      얼마전에 신고대상인지 아닌지 확인을 놓쳐서  가산세 추징당한 얘기 들어서 더 와닿습니다.     요즘 신입직원분들 알려드리려고 강의듣고 이해했는지 체킹해드리려고 문제도 내보고 있습니다.   step 1. 부가세 신고 대상자 정리하려고 합니다. 부가세 신고는 무엇을 기준으로 하나요? ① 사업자등록번호 ② 주민등록 번호   step 2. 간이과세자는 공급댓가 얼마 미만이면 부가세 신고는 하되 , 세금 납부는 면제 되나요? ① 3,000 만원 미만 ② 4,800,만원 미만   step 3. 홈텍스에서 신고대상자를 확인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나요? ①홈텍스-조회발급-사업자상태-사업자등록번호로조회 ②홈텍스- 조회발급-사업자상태-주민등록번호로 조회   step 4. 법인사업자의 소규모 사업자는 예정고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의 대상은 어떻게 판단하나요? ①직전 과세기간 공급가액의 합계액 1억 5천만원 미만 ②전년도 과세기간 공급가액의 합계액 1억 5천만원 미만   step5. 2021년도에 간이과세자 매출 3억을 했습니다. 일반과세자로 전환이 될텐데요. **이 사업장의 2022년 1기확정 부가세 신고 신고유형은 어떻게 될까요?** ① 일반과세자로 한다. ② 간이과세자로한다.   ---------------------------------- 답이 궁금하신 분들은  연락주세요! ㅎㅎ  (와캠퍼스 실무퀴즈 따라해봅니다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