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수를 줄이는 결산 ∙ 조정 체크리스트
결산 및 조정 체크리스트
개별 구매 시 수강기간 옵션
개별 구매시 결제금액
26,000원
실수를 줄이는 결산 ∙ 조정 체크리스트
결산 및 조정 체크리스트
캡틴
백근창 세무사
강의 평점
5 (4)
강의 챕터수
총 4개
전체 강의시간
1시간 15분
강의 난이도
고급
수강기간
와패스 구독시 무제한 / 개별 강의 상품별 기간 상이(옵션선택)
개별 구매 시 수강기간 옵션
개별 구매시 결제금액
26,000원

강의소개

👍 추천대상

  • 기업 내 자체 기장 업무를 담당하는 분
  • 결산한 내용을 결재하는 세무사 또는 관리자
  • 결재자가 어떤 내용을 중점적으로 보는지 알고 싶은 결산 업무 담당자
  • 본인의 결산 업무 체크리스트를 점검하고 보완하고 싶으신 분
 

수강 효과

  • 법인세 신고 실무에서 자주 하는 실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체크리스트를 통해 업무 과정을 빠르게 점검하고, 업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 이 강의는 어떤 강의일까?

 

매번 감으로, 생각나는 대로 결재하고 계신가요?

실무 경험이 녹아든, 법인세 결산 및 조정에서 실수하면 안 되는 체크리스트를 만들었습니다.

법인세 결산 및 조정 과정은 따져봐야 할 요건이 상당히 많기 때문에 체크리스트를 곁에 두면, 결산업무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습니다.

 

⭐️ 이런 걸 알려드릴 겁니다.

결재할 때 자주 틀리는 부분.

세무 조정 발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계정 중 실수하게 되면 과태료 가산세가 나와서 꼭! 검증해야 할 사항은 무엇인지 짚어드립니다.

 

🍯 계정과목별 체크 포인트 : 결재하시는 분들에게 꿀팁!

급하다 급해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결산서 해치우기에 바쁘셨나요?

기준없이 결재하면 왜 이걸 놓쳤지? 하는 순간이 찾아옵니다.

그렇다고 체크리스트를 만들기에는 할 일이 너무 많죠.

그래서 계정과목별로 주요 체크사항을 준비하여 알려드립니다.

 

 

백번 잘해도 한 번 못하면 도루묵입니다.

1년 농사의 마지막까지 리스크를 대비하셔서 여러분의 수고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캡틴 소개


매일 1%씩 성장하는 즐거움을 느끼겠습니다.
백근창 세무사 캡틴 페이지 바로가기
경력사항
세무법인백현 백근창세무사

커리큘럼

결산 및 조정 체크리스트
4 강의 챕터 | 1시간 15분
  • 01
    Intro : 무엇을 체크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0:19:39
    강의 목표, 손익계산서(매출, 매입)
  • 02
    재무제표 확정! 결산 체크리스트 (1)
    0:25:22
    손익계산서(판매비와 관리비)
  • 03
    재무제표 확정! 결산 체크리스트 (2)
    0:13:33
    손익계산서(당기 순이익) , 재무상태표(유동자산)
  • 04
    재무제표 확정! 결산 체크리스트 (3)
    0:17:24
    재무상태표(비유동자산, 유동부채, 비유동부채, 자본금

강의 후기

평점
5
수강생 후기
4
만족도 평점과 후기 작성은 강의를 수강한 이력이 있는 회원님들만 작성 가능합니다.
강의를 수강하시고 평점과 후기를 남겨주시면 500 와캐시를 드립니다!
{{item.user_display_name}} · {{item.review_created_at}} ·
{{printType(reply.instructorId)}} {{reply.user_display_name}} · {{reply.review_created_at}} ·

질문답변

Lv.5 배우미 · 2023-01-04
1
캡틴답글 백근창 세무사 · 2023-01-06
안녕하세요 1. 가지급금 가수금 상계시 연말에 하셔도 가지급금 인정이자 계산방식 동일 합니다. 다만 프로그램에서 적요 잘등록하셔야 해요 2. 가지급금이 발생할때 마다 약정서를 작성해야 하는 것을 세법에서 규정하지는 않았습니다. 법률적인 문제를 확인하시려면 변호사 자문이 필요할거 같네요 다만 가지급금과 가수금의 상계는 가지급금과 가수금의 이자 상환기간이 다를경우 상계되지 않을수도 있으니 약정서가 필요할수도 있겠네요 3. 법인카드를 대표이사가 개인적으로 사용했을 경우는 가지급금으로 정리하는것이 일반적이고 급여 성격이시라면 미지급급여형태로 바꿔 놓으시면 될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Lv.5 배우미 · 2023-01-04
1
캡틴답글 백근창 세무사 · 2023-01-06
안녕하세요 1. 개발비의 상각 년도는 원칙적으로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무형자산의 일반 품목일경우 5년 그렇지 않을경우 개별 개발비의 성격에 따라 업종별 자산의 내용연수를 따라야 할것으로 생각합니다. 실무상으로는 5년 상각을 합니다. 2. 위에 있는답과 같이 생각을 하셔야 합니다. 무형자산으로 판단될경우는 5년 정액, 업종별 자산일 경우 정률법으로 해야 하는데 업종별 자산은 신고내용연수와 상각방법을 선택할수 있을거 같습니다.(명확하게 해석한 부분이 없네요...) 3. 주의 사항 개발비는 개발이 끝나고가 아니라 개발이 끝나고 해당 개발행위로 수익이 도출되었을때 부터 상각이 시작됩니다. 4. 세액감면(특별세액감면등) 감가상각은 반드시 진행해야 합니다. 감가상각의 방법을 지키면서 상각을 진행하셔야 가능합니다.

성장인증

연관 추천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