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서로가 공감하며
함께 배우고 모두가 성장하는
즐거움을 나눠보세요. 😃
강사답변
codus5520
· 2025-11-12
조회수 32
0
·
1개의 답글
안녕하세요
codus5520
· 2025-11-12
관련 강의 : [2025 리뉴얼] 꼼꼼 원천세&4대보험 신고 완전정복 / 김성호 캡틴 [ 강의 바로가기 ]
수강 챕터 : 6. [이론] 인건비 신고 자주묻는 질문
수강 챕터 : 6. [이론] 인건비 신고 자주묻는 질문
안녕하세요.
이번 강의 마지막 부분에서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서요
인건비 신고를 안한 경우와 인건비 신고를 한 경우 추후 내야 하는 세금 차이가 발생 하는 것까지는 이해가 가는데
인건비 신고를 한 경우 사대 보험료를 소득자거만 내면 되고 인건비 신고를 안한 경우 직원 것까지 모두 납부 해야 한다는 게 무슨 의미일까요?
직원 취득 신고를 안하면 사장님은 지역가입자로서 자기 보험료만 내면 되는 거 아닌가요?
인건비 신고를 하지 않으면
인건비 나간 내용이 증빙처리가 되지 않아 경비로 인정받기가 어렵죠~
그렇다면 대표님. 소득에 직원급여까지 포함이 되니 지역가입자로 보험료를 내더라도, 사업소득 금액이 높아지니~
건강보험료가 올라간다.로 이해하심될듯합니다 ~:D